1. ISS는 무엇인가요?
국제우주정거장(ISS, International Space Station)은 지구 저궤도(LEO)에 위치한 인류 최초의 장기 유인 우주기지입니다. NASA, ESA, JAXA, 러시아 로스코스모스, 캐나다 우주국 등 여러 나라가 공동 운영하며, 인간이 장기간 우주에 체류할 수 있도록 만든 과학 실험 플랫폼입니다.
- 궤도 고도: 지상 약 400km
- 속도: 시속 약 28,000km
- 승무원 수: 평균 6~7명
2. ISS는 하루에 지구를 몇 바퀴 돌까요?
ISS는 약 90분마다 한 바퀴씩 지구를 공전합니다. 이를 계산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 하루 24시간 ÷ 1.5시간(90분) ≒ 16바퀴
즉, 국제우주정거장은 하루 동안 약 16바퀴 지구를 도는 셈입니다. 이 말은 곧, ISS에 있는 우주인들은 하루에 해돋이와 해넘이를 각각 16번씩 경험한다는 뜻이기도 합니다.
3. 왜 그렇게 빠르게 도는 걸까요?
ISS가 빠르게 도는 이유는 지구 중력을 벗어나지 않고도 자유 낙하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입니다. 우주정거장은 지구로부터 계속 떨어지는 낙하운동을 하지만, 그와 동시에 가로 방향으로 매우 빠르게 이동하기 때문에 지구를 ‘도는’ 궤도에 머물게 됩니다.
이 운동을 궤도 운동(orbital motion)이라고 하며, 이를 통해 ISS는 일정 고도에서 떨어지지 않고 지구 주위를 계속해서 공전할 수 있는 것이죠.
4. ISS에 사는 우주인의 하루
빠르게 공전하는 만큼, ISS 안에서의 하루는 지구에서의 하루와 매우 다릅니다. 시간은 UTC 기준으로 운영되며, 엄격한 스케줄과 과학 실험, 운동, 식사, 수면이 정해진 루틴 속에서 반복됩니다.
- 기상: 오전 6시 (UTC)
- 업무: 과학 실험, 외부 수리, 영상 촬영 등
- 운동: 하루 2시간 이상, 무중력 상태에서 근육·뼈 손실 방지
- 식사: 우주식(간편포장식), 주로 튜브형, 동결 건조
- 수면: 벽에 고정된 수면 포드에서 8시간
5. ISS는 어디서 볼 수 있나요?
사실 ISS는 지구에서 육안으로도 관측할 수 있습니다. 저녁이나 새벽 무렵, 하늘을 가로지르는 밝은 ‘별’처럼 움직이는 점이 바로 ISS입니다. 별처럼 깜빡이지 않고 직선으로 빠르게 움직이는 것이 특징입니다.
- 관측 앱 추천: ISS Tracker, Heavens Above, NASA Spot the Station
- 관측 조건: 해질 무렵 or 해 뜨기 전, 하늘이 맑고 달빛 없는 날
마무리
하루에 지구를 16바퀴 도는 ISS는 지구인의 눈으로는 상상하기 힘든 일상의 공간입니다. 그러나 그 안에는 과학자, 엔지니어, 우주인이 함께 모여 우주의 미래를 실험하고, 지구를 더 깊이 이해하기 위한 노력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오늘 밤, 하늘을 올려다본다면 어쩌면 그들이 타고 있는 ISS가 우리 머리 위를 지나가고 있을지도 모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