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76

외계 신호를 찾아서: 전파 망원경과 SETI 프로젝트 우주는 침묵하고 있는 걸까요, 아니면 우리가 아직 듣지 못하고 있는 걸까요? 인간은 오래전부터 외계 문명과의 소통을 꿈꿔왔습니다. 그리고 이 꿈을 과학적으로 실현하려는 시도가 바로 SETI 프로젝트입니다.이번 글에서는 SETI가 무엇인지, 전파 망원경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 그리고 지금까지 어떤 외계 신호가 탐지되었는지를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1. SETI 프로젝트란 무엇인가?SETI(Search for Extraterrestrial Intelligence)는 외계 지적 생명체의 전파 신호를 탐색하는 국제적 과학 프로젝트입니다.1960년대 시작: 프랭크 드레이크의 "오즈마 프로젝트"에서 출발현재는 미국, 유럽, 아시아 등 다양한 국가와 민간 기관이 참여대형 전파 망원경으로 외계에서 오는 신호를 분석SET.. 2025. 5. 1.
금성, 화성, 유로파: 생명이 숨었을 가능성은? 외계 생명체가 반드시 먼 은하에 있어야 할까요? 사실 태양계 안에도 생명이 숨었을 가능성이 있는 천체들이 존재합니다. 오늘은 그중에서 과학자들이 가장 주목하는 세 곳, 금성의 대기, 화성의 표면, 그리고 유로파의 지하 바다를 중심으로 생명 가능성을 과학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1. 금성: 지옥 같은 행성에 생명?금성(Venus)은 태양계에서 가장 뜨겁고 극한 환경을 지닌 행성입니다. 표면 온도는 약 470°C, 대기압은 지구의 92배이며, 황산 구름이 뒤덮고 있습니다.하지만 과학자들은 금성 대기의 상층부(약 50~60km 높이)에서는 생명체가 살 수 있는 조건이 일부 존재할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습니다.온도: 30~70°C로 비교적 온화압력: 지구 대기와 비슷2020년: 대기 중 포스핀(Phosphine) 검.. 2025. 4. 30.
외계 생명체는 어디에 있을까? 드레이크 방정식의 비밀 밤하늘을 올려다볼 때, 우리는 종종 이런 질문을 던집니다. "우주에 우리만 존재하는 걸까?" 수천억 개의 별과 수조 개의 은하가 존재하는 우주에서, 생명체가 지구에만 존재한다는 것은 상상하기 어렵습니다.이런 의문에 과학적으로 접근한 대표적인 시도가 바로 드레이크 방정식(Drake Equation)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드레이크 방정식이 무엇인지, 그리고 외계 생명체 존재 가능성을 어떻게 추정하는지 살펴보겠습니다.1. 드레이크 방정식이란 무엇인가?1961년, 천문학자 프랭크 드레이크(Frank Drake)는 외계 문명의 수를 추정하기 위해 하나의 방정식을 제안했습니다. 이는 단순한 수학식이 아니라, 우주에 외계 생명체가 존재할 확률을 과학적으로 계산하기 위한 시도였습니다.드레이크 방정식은 다음과 같이 표현.. 2025. 4. 29.
명왕성은 왜 행성에서 제외됐을까? 정의와 논쟁 한때 태양계의 아홉 번째 행성으로 사랑받던 명왕성(Pluto). 그러나 2006년, 국제천문연맹(IAU)은 명왕성의 지위를 왜소행성(Dwarf Planet)으로 재분류하며 큰 논란을 일으켰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명왕성이 왜 행성에서 제외되었는지, 그리고 과학계와 대중 사이에서 벌어진 뜨거운 논쟁을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1. 명왕성의 발견과 행성으로서의 역사1930년, 미국 천문학자 클라이드 톰보(Clyde Tombaugh)가 명왕성을 발견했습니다. 그 당시 명왕성은 태양계의 9번째 행성으로 등재되었고, 수십 년 동안 교과서에도 등장했습니다.그러나 시간이 지날수록 명왕성은 다른 행성과는 다소 다른 특징을 보였습니다:매우 작은 크기 (지름 약 2,377km)이상하게 찌그러진 궤도 (타원형, 기울기 큼)카이퍼.. 2025. 4. 27.
토성의 고리, 얼마나 오래 남아있을까? 밤하늘을 관측할 때 가장 신비롭고 아름다운 모습을 자랑하는 행성, 바로 토성(Saturn)입니다. 토성의 가장 독특한 특징은 누구나 알 수 있는 광대한 고리(Rings)죠. 하지만 최근 연구에 따르면, 이 고리는 영원히 존재하지 않는다는 충격적인 사실이 밝혀졌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토성 고리의 기원, 구성, 그리고 소멸 과정을 과학적으로 알아봅니다.1. 토성의 고리는 무엇으로 이루어졌을까?토성의 고리는 수많은 얼음 조각과 암석 부스러기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크기는 작은 먼지 입자부터, 수 미터 크기의 얼음 덩어리까지 다양합니다.주성분: 물 얼음 (90~95%)나머지: 먼지, 암석 조각이 물질들은 토성의 강력한 중력에 의해 얇은 디스크 형태로 퍼져 있으며, 토성 적도면을 따라 넓게 펼쳐진 평면 구조를 이룹.. 2025. 4. 27.
목성의 위성 유로파, 생명체가 살 수 있을까? 지구 외에도 생명체가 살 수 있는 곳이 있을까요? 과학자들은 그 가능성을 찾아 목성의 위성 유로파(Europa)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얼음으로 덮인 이 작은 세계 안에는 거대한 액체 바다가 숨겨져 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오늘은 유로파가 왜 생명체 존재 후보지로 주목받는지 살펴봅니다.1. 유로파란 어떤 천체인가?유로파는 목성의 79개 위성 중 하나로, 1610년 갈릴레오 갈릴레이가 처음 발견한 4대 갈릴레오 위성 중 하나입니다.지름: 약 3,100km (지구의 달보다 약간 작음)표면: 매끄럽고, 균열이 가득한 얼음층특징: 지하에 액체 바다가 있을 가능성가까이에서 본 유로파는 깨진 얼음판처럼 보이며, 얼음 밑에는 깊은 바다가 숨어 있다고 추정됩니다.2. 유로파에 바다가 있다고 추정하는 이유과학자들이 유로파.. 2025. 4. 26.
화성 탐사, 어디까지 왔을까? 인간이 첫발을 내딛기까지 붉은 별, 화성은 오래전부터 인류의 호기심을 자극해왔습니다. 이제 화성은 단순한 상상이 아닌, 구체적인 탐사의 대상이 되었습니다. 오늘은 화성 탐사의 역사와 현재, 그리고 인간이 화성에 발을 디디기 위한 준비를 살펴보겠습니다.1. 인류 최초의 화성 탐사 시도1960년대, 미국과 소련은 화성에 탐사선을 보내려는 경쟁을 시작했습니다. 그러나 초기에는 대부분 실패했습니다.1960년대 소련의 화성 탐사선은 발사 실패1964년 NASA의 마리너 4호(Mariner 4)가 최초로 화성 근접 비행에 성공최초의 화성 사진을 지구로 전송이후 인류는 화성을 더 구체적으로 이해하기 시작했습니다.2. 궤도선과 착륙선: 화성을 가까이 보다1976년 NASA는 바이킹 1호와 2호(Viking 1 & 2)를 성공적으로 화성 표면에.. 2025. 4. 26.
수성에서 명왕성까지: 태양계 행성들의 진짜 모습 우리는 지구에 살고 있지만, 태양계를 이루는 8개의 행성들과 왜소행성 명왕성에 대해서는 놀라울 정도로 많은 것을 아직 모르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태양계의 각 행성이 어떤 특성과 환경을 갖고 있는지를 간단명료하게 정리해보겠습니다.1. 태양계는 어떻게 구성되어 있을까?태양계를 구성하는 주요 천체는 다음과 같습니다:태양: 중심 항성8개의 행성: 수성, 금성, 지구, 화성,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왜소행성: 명왕성, 세레스 등위성, 소행성대, 혜성, 태양풍 등행성은 내부 행성과 외부 행성으로 나뉘며, 수성~화성은 ‘암석형 행성’, 목성~해왕성은 ‘가스형 또는 얼음형 행성’으로 분류됩니다.2. 태양에 가장 가까운 행성: 수성수성은 태양에 가장 가까우며, 크기와 중력이 작고 대기가 거의 없습니다. 낮과 .. 2025. 4. 25.
블랙홀과 중성자별: 별의 죽음이 만들어낸 신비 별도 영원하지 않습니다. 수천만, 수십억 년을 빛나던 별은 결국 에너지를 다하고 죽음을 맞이합니다. 하지만 그 마지막은 단순한 소멸이 아닙니다. 때로는 우주에서 가장 극단적인 존재인 블랙홀이나 중성자별이 되어 새로운 우주의 이야기를 시작하죠.이번 글에서는 별의 마지막 단계인 블랙홀과 중성자별이 어떻게 탄생하는지, 그 과학적 비밀을 풀어보겠습니다.1. 별의 죽음은 질량으로 결정된다별의 운명은 처음 태어날 때의 질량에 따라 결정됩니다. 작은 별(태양급)은 백색왜성으로 수축하며 조용히 사라지지만, 질량이 큰 별(태양의 8배 이상)은 극적인 초신성(Supernova) 폭발 후, 중성자별 또는 블랙홀로 진화하게 됩니다.2. 중성자별: 도시 크기의 초고밀도 별초신성 폭발 후 중심핵이 남게 되는데, 이 잔해의 질량이.. 2025. 4. 25.
은하의 종류와 진화: 우주의 섬들을 탐험하다 우주를 구성하는 가장 거대한 구조 중 하나인 은하(Galaxy). 각 은하는 마치 우주 속 하나의 섬처럼, 수십억 개의 별과 성운, 암흑물질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우리가 사는 우리은하(Milky Way)는 그중 하나일 뿐이며, 관측 가능한 우주에는 약 2조 개의 은하가 존재하는 것으로 추정됩니다.이번 글에서는 은하의 다양한 형태와 그것이 어떻게 진화하는지 살펴보겠습니다.1. 은하란 무엇인가?은하는 중력에 의해 결합된 별, 성운, 행성, 가스, 암흑물질 등의 집합체입니다. 은하 내부에는 초대질량 블랙홀이 중심에 위치하고 있으며, 모든 구성체들은 회전하면서 서로 상호작용하고 있습니다.은하는 별의 수명과 은하 간 충돌, 내부 폭발 등의 과정을 통해 계속해서 변화하고 진화합니다.2. 허블의 은하 분류법1936년.. 2025. 4. 24.